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6

큐(Queue) Queue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을 기다리는 사람, 차량 등의 줄 혹은 줄을 서서 기다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줄을 지어 순서대로 처리되는 자료구조가 큐이다. Queue는 먼저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오는 First in First Out의 형태를 가진다. 먼저 들어간 자료가 먼저 나오는 구조 FIFO(First In FIrst Out) 구조큐는 한 쪽 끝은 프런트(front)로 정하여 삭제 연산만 수행함 다른 한 쪽 끝은 리어(rear)로 정하여 삽입 연산만 수행함 어떻게 사용하는가? #include // Queue가 포함된 헤더파일 queue q; // int형 큐 선언, 다른 자료형을 넣어도 됨 q.push(x); // 큐에 데이터 x를 입력한다. q.pop(); // 큐의 데이터를 삭제한다. q.s.. 2022. 3. 11.
스택(Stack) Stack의 사전적 정의는 '쌓다', '더미'이다. 상자에 물건을 쌓아 올리듯이 데이터를 쌓는 자료구조라고 할 수 있다. Stack은 나중에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오게 되는 (Last In First Out)의 형태를 띠는 자료구조이다. 예를 들어 프링글스 과자를 생각해보자. 과자를 만들 때 과자를 위에서 집어넣었다면 우리가 젤 처음 먹는 과자는 제일 나중에 들어갔던 과자 일 것이다. LIFO(Last In First Out) 구조 push(원소 삽입), pop(원소 삭제), Top(꼭대기 원소 확인) 시간 복잡도 O(1) Stack은 C++ 표준 라이브러리(Standard Template Library)에 있는 정의 되어 있어 필요할 때마다 만들어 사용하지 않고 include 하여 사용하면 된다. 어떻게.. 2022. 3. 11.
분할정복(Divide and Conquer) 분할 정복 알고리즘은 말 그대로 분할하고 정복하는 알고리즘이다. 먼저 문제를 나눌 수 없을 때까지 나누어 각각을 풀고 다시 합병하여 문제의 답을 얻는다. 어떻게 푸는가? Divide : 문제가 분할이 가능한 경우 두 개 이상의 문제로 나눈다. (가장 중요!!!) Conquer : 나눠진 문제가 여전히 분할이 가능하면, 또 Divide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문제를 푼다. 문제의 크기를 최대로 줄이게 되면 바로 답을 구할 수준이 됨, 이게 재귀 함수를 이용해서 문제를 풀 때의 기저 사례와 같음, 그래서 분할 정복은 재귀 호출과 궁합이 잘 맞음 Combine : Conquer 한 문제들을 통합해서 원래 문제의 답을 얻는다. 위 그래프가 분할정복 알고리즘의 대략적인 모습이다.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문제인.. 2022. 3. 11.
[ 역곡 / 가톨릭대 맛집 ] 썬더치킨 정말 오랜만에 쓰는 맛집 후기글. 다시 한 개씩 한개씩 써보려고 한다. 썬더치킨!! 이제 학교 주변에 브랜드 치킨집이 많이 생겼지만 여전히 내가 찾는 단골 치킨집이다. 역곡역 앞 서브웨이 건물 2층에 위치하고 있다. 영업시간은 월~토 오후 4시부터 오전 2시까지다. 코로나 이슈로 매장은 11시까지 운영하는듯하다, 내부 모습이다. 굉장히 환하고 큰 스크린에서 영상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 전에는 이곳에 다 같이 모여서 축구 응원도 했었다ㅎㅎ 창밖을 보면서 먹을 수 있는 자리도 있다 혼술용이라기 보단 나란히 앉아서 먹는 용인 거 같다. 메뉴판이다. 두 명이서 반반반 세트를 시켜먹으면 양이 적당하다. 우리는 반반반 마늘 세트를 시켰다. 마늘치킨이 달짝지근한 게 참 맛있고 떡꼬치도 튀겨주시는데 별미다. 치맥은 진.. 2022. 3. 10.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등록 ( 티스토리 블로그) 저번 구글 서치 콘솔 등록을 이어서 이번에는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를 등록시켜보자!! 구글서치 콘솔 등록하기(티스토리 블로그) 깃 블로그에서 티스토리로 옮기게 된 이유였던 구글 서치 콘솔을 등록해보자. 구글에 이 블로그의 존재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이다. 1.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about?hl=ko 로 접속하기 Google S.. hongcode.tistory.com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도 구글 서치 콘솔과 마찬가지로 네이버에 내 블로그의 존재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1.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접속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와 함께 당신의 웹사이트를 성장시켜보세요 searchadvisor.naver.com 로그인 해준뒤 웹마.. 2022. 3. 10.
Favicon 세팅하기( 티스토리 블로그 ) 파비콘(Favicon)이란, 인터넷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접속했을 때, 상단 탭의 왼쪽에 작게 보이는 아이콘을 말한다. 아무 세팅을 해주지 않으면 T모양의 파비콘이 보여진다. 블로그를 대표하는 아이콘을 바꿔보자. 이미지 찾기 직접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픽토그램을 이용해서 만들었다.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는 사이트들이다. flaticon Icooon-mono Thenounproject Iconfinder Freepik FreeVectors 이 중에서 flaticon에서 이미지를 가져와 보자!! 1. 플래티콘에 접속하기 2. 찾고자하는 아이콘 검색하기 3. 아이콘 선택하기 png를 눌려준다. Free download를 눌러준다. 너로 정했다!!!! 4. png 파일 ico 확장자로 변환해주기 https://.. 2022.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