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할 정복 알고리즘은 말 그대로 분할하고 정복하는 알고리즘이다. 먼저 문제를 나눌 수 없을 때까지 나누어 각각을 풀고 다시 합병하여 문제의 답을 얻는다.
어떻게 푸는가?
- Divide : 문제가 분할이 가능한 경우 두 개 이상의 문제로 나눈다. (가장 중요!!!)
- Conquer : 나눠진 문제가 여전히 분할이 가능하면, 또 Divide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문제를 푼다.
- 문제의 크기를 최대로 줄이게 되면 바로 답을 구할 수준이 됨, 이게 재귀 함수를 이용해서 문제를 풀 때의 기저 사례와 같음, 그래서 분할 정복은 재귀 호출과 궁합이 잘 맞음
- Combine : Conquer 한 문제들을 통합해서 원래 문제의 답을 얻는다.
위 그래프가 분할정복 알고리즘의 대략적인 모습이다.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문제인 집합을 2개의 절반 크기로 분할하는 경우를 통해 시간 복잡도를 이해해보자
문제의 크기(데이터 집합의 크기)를 N이라고 할 때, 한 단계 분할했을 때의 크기는 N/2가 된다. 기저 사례가 N=1인 문제라면 몇 번 분할될까? log₂N 번이다. N이 2의 거듭제곱인 경우에는 정확히 log₂N 번이고 아닐 때는 조금 더 많이 분할될 수 있지만 많아 봐야 N*2일 때를 넘지 못한다. 2^(k-1) < N <= 2^k일때 k번 분할되게 된다. 분할된 단계의 경우를 O(logN)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계에 따라 분할되는 집합의 개수는 단계를 0, 1,.. k라고 봤을 때 2^k개다.
정리하자면 문제의 크기를 N이라고 하고 현재 단계를 k라고 할 때 각 단계의 부분집합의 크기 : 2^k, 분할 후 문제의 크기 : N/(2^k), 각 문제마다 병합(conquer) 단계에서 걸리는 시간 : O(N) K 단계일 때 병합할 때 걸리는 시간 : O(N/(2^K))이다.
각 문제마다 병합 단계에서 걸리는 시간이 왜 O(N)인지는 병합 정렬 설명을 하면서 하겠다.
그럼 단계별 병합을 할 때 걸리는 시간은
0단계: 1 * O(N) 1단계: 2 * O(N/2) 2단계: 4 * O(N/4)... ... K단계: 2^K * O(N/(2^K)) = O(N)
각 단계마다 부분집합의 크기 역시 지수적으로 줄어드는 만큼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화하면 각 단계의 시간 복잡도는 O(N)이다.
아까 위에서 구했듯이 분할된 단계의 개수는 총 O(logN) 개 이므로 두 개를 곱하면 O(NlogN)이라는 시간 복잡도를 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
- 병합 정렬 (merge sort)
- 이분 탐색 (binary search)
- 거듭제곱 연산 (a^b)
- 피보나치수열
예시 중에 병합 정렬을 더 자세히 보여주겠다. (이분 탐색은 따로 다룰 예정)
병합 정렬(Merge Sort)
시간 복잡도 : O(n log n) 공간 복잡도 : O(n)
- 정렬한 데이터의 집합 크기가 0 or 1이 아니면(기저 조건) 데이터의 집합을 반으로 divide 해준다.
- divide가 끝나면 같은 집합에서 나눠진 데이터들을 정렬하면서 병합하여 하나의 집합으로 만든다.
- 데이터 크기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올 때까지 2를 반복
ex)
다음과 같은 데이터 집합이 있다.
1번의 과정을 하여 나눠준다.
분할이 다 끝나면 2,3번 과정을 반복해준다.
조각난 데이터를 정렬해가면서 병합하면 하나의 정렬된 데이터 집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병합하면서 어떻게 정렬하고 각 문제마다 병합(conqure) 단계에서 걸리는 시간 복잡도가 O(N)인 이유를 알아보자.
두 데이터 집합을 정렬하면서 합치는 법
- 두 데이터 집합의 크기만큼의 크기를 가지는 빈 데이터 집합을 만든다.
- 두 데이터 집합의 첫 번째 요소들을 비교하여 작은 요소를 빈 데이터 집합에 추가한다. 그리고 새 데이터 집합에 추가한 요소는 원래 데이터 집합에서 삭제한다.
- 원래 두 데이터의 집합 요소가 모두 삭제될 때까지 2를 반복한다.
ex) 위의 두 번째 단계를 가져와봤다. 두 단계의 합만큼의 크기를 가진 빈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하자.
두 데이터의 집합의 첫 번째 요소를 비교해서 더 작은 값을 빈 데이터에 삽입하고 삽입한 값은 원래의 데이터 집합에서 삭제한다. 예시에서는 첫번째 집합의 2와 두 번째 집합의 1을 비교해서 1이 더 작으므로 빈 데이터에 넣어준다.
1을 삭제하고 2와 4를 비교한 후 더 작은 2를 빈 데이터에 넣어준다.
마찬가지로 2를 삭제하고 3과 4를 비교한 후에 더 작은 3을 넣어준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 두 데이터는 전부 삭제되고 비어있던 데이터 집합은 정렬된 데이터 집합이 되었다.
단순히 첫 번째 데이터를 비교하는 시간과 삭제하는시간 복잡도는 O(1)이므로, 병합하고 정렬하는 과정은 O(병합해야할 두 데이터의 크기의 합)이라는 시간복잡도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각 문제마다 병합단계에서 걸리는 시간 복잡도는 O(N)이 되고 아까 증명했듯이 전체 시간복잡도는 O(NlogN)이다.
버블 정렬, 선택 정렬 등의 기본적인 알고리즘이 O(N^2)이라는 점에서 보면 굉장한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일반적인 알고리즘 중 가장 빠른 퀵 정렬 또한 분할 정복 기법을 사용한다.
C++의 STL에 속한 sort 함수, C의 qsort 함수 등 여러 언어의 라이브러리에서 이 빠른 분할 정복을 베이스로 한 정렬 함수를 지원한다.
관련 문제
- [BOJ 1629 곱셈]<https://www.acmicpc.net/problem/1629>
- [BOJ 2104 부분 배열 고르기]<https://www.acmicpc.net/problem/2104>
- [BOJ 1725 히스토그램] <https://www.acmicpc.net/problem/1725>
- [BOJ 1780 종이의 개수] <https://www.acmicpc.net/problem/1780>
- [BOJ 1992 쿼드 트리] <https://www.acmicpc.net/problem/1992>
- BOJ 1074 Z <https://www.acmicpc.net/problem/1074>
- BOJ 2447 별 찍기 10 <https://www.acmicpc.net/problem/2447>
- BOJ 2339 석판 자르기 <https://www.acmicpc.net/problem/2339>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비 우선 탐색(bfs) (2) | 2022.03.11 |
---|---|
깊이 우선 탐색(dfs) (0) | 2022.03.11 |
탐욕적 기법(Greedy Algorithm) (0) | 2022.03.10 |
완전탐색(exhaustive search) : Brute-force (0) | 2022.03.09 |
시간 복잡도 & 빅오표기법 (0) | 2022.03.09 |
댓글